[차알못시승기]단단한 승차감…가속·제어 성능 인상적고성능 전기차 세단 시장 공략 본격화빗길 잔진동…디자인 호불호 가능성BYD 중형 전기 세단 '씰'./사진=백유진 기자 byj@경기 남부에 호우특보가 내려진 지난 16일 오후 경기도 용인 스피드웨이. 쏟아지는 빗줄기 속에서 BYD가 국내에 두 번째로 선보이는 중형 전기 세단 '씰(SEAL)'이 조용히 엔진음을 울리며 트랙 위에 올랐다.궂은 날씨에 굳이 고성능 전기차를 서킷에 세운 이유는 분명했다. 씰이 국내 공개된 이후 가장 화제가 된 건 차량의 '스펙'이다. 제로백 3.8초, 출력 530마력. BYD는 단순히 숫자를 넘어 실제 주행 상황에서 차량의 기술력을 입증하기 위해 트랙 체험 행사를 준비했다. 이를 통해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국내 소비자의 선입견을 깨고 긍정적 이미지를 심겠다는 전략이다.민첩한데 안전까지 챙겼다이날 시승은 짐카나와 일반 도로 주행, 트랙 주행, 택시 주행까지 네 가지 방식으로 이뤄졌다. 짐카나 코스는 좁은 회전 구간을 빠르게 돌아나가며 가속과 제동, 조향 반응을 점검하는 구간이다. 이날은 기상 상황을 고려해 급격한 회전 구간이 많지 않은 간결한 코스로 진행됐다.BYD 중형 전기 세단 '씰'./사진=백유진 기자 byj@엑셀을 밟자마자 전기차 특유의 즉각적인 반응성이 느껴졌다. 씰은 고성능 세단 성능을 갖추고 있다. 전륜에는 160kW, 후륜에는 230kW 출력을 갖춘 듀얼모터를 탑재해 총 출력은 390kW(530마력)에 달하며,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가속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3.8초다. 이러한 스펙을 증명하듯 출발 가속은 민첩했다. 움직임 또한 예상보다 날렵하고 유연하다는 느낌을 받았다.무엇보다 인상적인 건 정밀한 제어감이었다. 씰은 BYD가 순수 전기차 중 최초로 '셀투바디(Cell-to-Body, CTB)' 기술을 적용한 모델이다. CTB 기술은 배터리팩의 상단 커버를 차체 바닥과 융합하는 구조다. '배터리팩 상단 커버-블레이드 배터리-트레이' 등 샌드위치 구조로 이뤄져 있다. 배터리를 차체와 일체화함으로[차알못시승기]단단한 승차감…가속·제어 성능 인상적고성능 전기차 세단 시장 공략 본격화빗길 잔진동…디자인 호불호 가능성BYD 중형 전기 세단 '씰'./사진=백유진 기자 byj@경기 남부에 호우특보가 내려진 지난 16일 오후 경기도 용인 스피드웨이. 쏟아지는 빗줄기 속에서 BYD가 국내에 두 번째로 선보이는 중형 전기 세단 '씰(SEAL)'이 조용히 엔진음을 울리며 트랙 위에 올랐다.궂은 날씨에 굳이 고성능 전기차를 서킷에 세운 이유는 분명했다. 씰이 국내 공개된 이후 가장 화제가 된 건 차량의 '스펙'이다. 제로백 3.8초, 출력 530마력. BYD는 단순히 숫자를 넘어 실제 주행 상황에서 차량의 기술력을 입증하기 위해 트랙 체험 행사를 준비했다. 이를 통해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국내 소비자의 선입견을 깨고 긍정적 이미지를 심겠다는 전략이다.민첩한데 안전까지 챙겼다이날 시승은 짐카나와 일반 도로 주행, 트랙 주행, 택시 주행까지 네 가지 방식으로 이뤄졌다. 짐카나 코스는 좁은 회전 구간을 빠르게 돌아나가며 가속과 제동, 조향 반응을 점검하는 구간이다. 이날은 기상 상황을 고려해 급격한 회전 구간이 많지 않은 간결한 코스로 진행됐다.BYD 중형 전기 세단 '씰'./사진=백유진 기자 byj@엑셀을 밟자마자 전기차 특유의 즉각적인 반응성이 느껴졌다. 씰은 고성능 세단 성능을 갖추고 있다. 전륜에는 160kW, 후륜에는 230kW 출력을 갖춘 듀얼모터를 탑재해 총 출력은 390kW(530마력)에 달하며,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가속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3.8초다. 이러한 스펙을 증명하듯 출발 가속은 민첩했다. 움직임 또한 예상보다 날렵하고 유연하다는 느낌을 받았다.무엇보다 인상적인 건 정밀한 제어감이었다. 씰은 BYD가 순수 전기차 중 최초로 '셀투바디(Cell-to-Body, CTB)' 기술을 적용한 모델이다. CTB 기술은 배터리팩의 상단 커버를 차체 바닥과 융합하는 구조다. '배터리팩 상단 커버-블레이드 배터리-트레이' 등 샌드위치 구조로 이뤄져 있다. 배터리를 차체와 일체화함